2015년 3월 22일 일요일

뇌졸증과 치매예방에 도움을 주는 엽산의 효과


뇌졸증과 치매 예방에 도움을 주는 엽산의 효과  게시판 
2015/01/30 19:27
전용뷰어 보기
​엽산은 뇌졸증과 치매 예방과 선천성 기형아 예방에 도움을 주고 있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타(CDC)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998년부터 모든 곡물에 엽산을 강화하도록 의무화한 뒤 16년 만에 신경관 결손 태아가 35%(연간 1300여 명) 감소했다고 '질병과 사망 주간보고서(MMWR)'에 발표했다.

엽산은 비타민 B군에 속하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세포 내 DNA와 RNA 합성에 꼭 필요하다. 엽산을 꾸준히 섭취하면 태아 심장 기형, 신경관 결손증, 요로기형 등 선천성 기형 출산 예방에 도움을 줘 임신을 계획하는 부부와 임신부, 수유 중인 산부에게 특히 필요하다.

엽산은 태아의 신경관 형성에 필요한 매우 중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에 임신부의 경우 성인 여성 엽산 권장 섭취량의 2배 이상 섭취해야 한다. 태아의 신경관 결손은 척추나 뇌에서 신경관이 그 형태를 갖추는 시기인 임신 첫 달에 주로 발생한다. 신경관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으면 척추갈림증이나 무뇌증과 같은 결손 태아를 낳을 수 있다.

엽산의 효능이 알려진 것은 1990년대 초반이다. 임신부가 매일 0.4mg을 섭취하면 신생아 1000명에 1명꼴로 발생하는 뇌와 척수 장애를 40% 정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FDA는 임신 여성이 식사 때 최소한의 엽산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의무사항을 시행하고 있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이 매일 엽산 400 마이크로그램(㎍)을 섭취할 경우 신경관 결손 태아를 가진 아이를 낳을 확률이 50-70%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전자 학회에서는 임신 번부터 엽산을 복용하면 뇌척수 장애뿐만 아니라 선천성 심장병, 언청이 등의 발생 빈도도 떨어진다는 논문이 발표됐다.

예비 아빠의 경우에도 건강한 아기를 만들기 위해 정자 생성 주기를 고려해 최소 3개월 전부터는 태아 신경 발달과 세포 발달에 도움을 주는 엽산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임산부나 예비 아빠가 아닌 경우에도 엽산을 섭취하면 건강에 좋다. 엽산이 부족하면 심혈관 질환이나 대장암과 직장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으며, 꾸준히 섭취하면 엽산이 동맥경화를 일으킬 수 있는 호모시스테인의 혈중 농도를 떨어뜨리는 기능을 한다.

엽산은 노인 등의 뇌기능을 개선해 치매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잇달아 발표되고 있다. 엽산과 같은 항산화 비타민은 활성산소 축적을 억제해 뇌신경 세포의 퇴화 및 뇌의 노화 현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기억력 감퇴와 심장 질환, 뇌졸증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호모시스테인 수치의 상승을 억제해 노화에 따른 기억력 감퇴,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쇠고기, 버섯, 양배추에는 엽산이 많이 함유돼 있어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혈액 속에 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호모시스테인 이 너무 많을  경우 지각력이 감소하는데 엽산이 이를 낮출 수 있다. 시금치 등 녹황색 채소에는 엽산이 풍부하다. 엽산은 뇌기능을 강화하고, 태아의 뇌신경과 척추신경을 완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주요 판매 아이템 : 암과 같은 악성질환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자연치유식이 있습니다. 자연치유식은 신체적 여건(기초체력과 면역체계)을 개선하는 중요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암환자 또는 건강한 가족의 식단을 위한 새로운 레시피도 출시되어 있습니다.

 - 레스톤 프로폴리스 하니(천연 꿀 타입)

 - 로얄제리.비폴렌.프로폴리스 (캡슐 타입)

 - 레스톤 하니 파우더(설탕 대용 레시피)

댓글 없음:

댓글 쓰기

[AI추천건강상식] 당뇨 걱정 끝! 70세 이후의 삶을 바꾸는 건강 습관 체크리스트

    70세에도 당뇨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평생 건강을 지키는 쉽고 확실한 당뇨 예방법을 소개합니다. "나이가 들면 어쩔 수 없지..." 혹시 이런 생각으로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