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커 네트워크를 제작시 각종 소자나, 주파수등 계산식이 있나요?[내공]
- siw****
- 질문 14건 질문마감률90%
- 2004.09.14 03:47
18
- 답변
- 2
- 조회
- 10,572
1. 주파수를 계산하는 식이 있나요.
콘덴서로는 저음을 커트하고 고음을 내게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트위터를 설치시 콘덴서를 +에 직렬로 달아주게 되면, 저음은 나오지 않고 고음만 나온다고 들었는데요.
그런데 문제가, 어느분은 1.1uF를, 어떤분은 2.2UF를 달아라라고 하십니다. 1.1마이크로 패럿을 달았을때, 2.2마이크로 패럿을 달았을때 어디부터 어디까지의 주파수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가청주파수시 고음이란 4Khz 부터 20Khz 까지 라고 들었는데요. 이걸 정확히 커팅해주기 위해 정확한 양의 콘덴서를 구할수 있는 수식같은게 존재하나요?
2. 콘덴서의 병렬연결
이것저것 네이버 지식을 찾던중. 콘덴서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요.
트위터에서 사용하듯, 콘덴서를 직렬연결하게 되면 저음을 죽이고 고음만 패스시킨다는것은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한글에서만 콘덴서를 병렬연결하면 반대로 고음을 죽이고 저음을 살린다는 말을 들었는데요. 사실인가요?
만약에 맞다면. 그것또한 계산하는 수식같은게 존재하나요?
3. 초크코일
저음을 살리고 고음을 죽이기 위해선 mH급 초크코일을 사용하라고 들었습니다. 제가 사는곳은 대전인데요. 대전에서 초크코일을 구할수 있는곳에선 uH급 초크코일밖에 판매하지 않더군요. 200mH가 필요하기도 하던데요. 혹시 사이트상으로 mH급 초크코일을 구할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보통 흔한, Ic114라던가, 엘레파츠라던가 디바이스파츠 이런덴 없습니다.
또한, 초크코일을 병렬연결하면 어떻게 되나요? 콘덴서의 병렬연결이 반대로 저음을 살리는것이라면 혹시나 코일의 병렬연결은 반대로 고음을 살리는건 아닌가요?
4. 초크코일과, 콘덴서의 혼합 사용
초크코일을 직렬로 연결하면 고음이 죽는다고 했는데.
+IN -> 초크코일직렬연결 -> 콘덴서직렬연결 -> +Out 같은 회로도는 어떻게 된건가요?
스피커의 + 신호가 들어와서 초크코일을 지나 고음이 죽었고, 저음도 죽이는건가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지정 주파수를 컷팅해주려고 한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서 총 100까지의 주파수가 있다면. 20에서 50까지만 쓰기 위해 컷팅한것 같기도 한데
그런 원리때문에 지런식의 회로를 구상한건가요?
5. 저항
회로도에서 특히 스피커의 회로도에서 보게 되면 저항이 달려있는것을 볼수 있는데요. 보통 시멘트 저항이 사용되더군요.
제가 알기론 스피커에서의 저항이란 소리의 크기를 결정하는것으로 들었는데. 맞나요?
3웨이 네트워크 스피커 회로도에서 각저항은 각 스피커의 소리를 분배해주려고 사용된것인가요?
6. 가변콘덴서
가변콘덴서가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변식으로 콘덴서의 용량을 만들수 있다고 하는데요.
IC114나, 기타 소자판매사이트에서 봤을땐 용량이 3pF~9pF 같은 아주 소용량의 가변콘덴서밖에 없더군요.
혹시나 uf 기준의 큰 용량의 콘덴서나, 또는 콘덴서를 결합시켜 쓸수 있는 가변 콘덴서가 있다던데 그런게 어디있는지 아니면 사진같은것에 대한 정보가 있나요?
질문이 많지요?
최대한 이해하시는데 어렵지 않게 표현하려고 했지만 이해가 잘 되실련지는 모르겠네요.
요즘 이것저것 소자들에 대해 공부를 하다가 보니 시간가는줄 모르고 재미있습니다.
한층 한층 더 성장하고 싶은데 꽉 막힐때가 한두번이 아니네요.
그럴때마다 남들이 올려놓은 답변이나 질문을 참고하는데. 이번에는 찾기가 힘들어서 제가 한번 올려봅니다. ^^
항시 즐거운 생활하시구요.
답변좀 부탁드릴께요.
콘덴서로는 저음을 커트하고 고음을 내게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트위터를 설치시 콘덴서를 +에 직렬로 달아주게 되면, 저음은 나오지 않고 고음만 나온다고 들었는데요.
그런데 문제가, 어느분은 1.1uF를, 어떤분은 2.2UF를 달아라라고 하십니다. 1.1마이크로 패럿을 달았을때, 2.2마이크로 패럿을 달았을때 어디부터 어디까지의 주파수가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가청주파수시 고음이란 4Khz 부터 20Khz 까지 라고 들었는데요. 이걸 정확히 커팅해주기 위해 정확한 양의 콘덴서를 구할수 있는 수식같은게 존재하나요?
2. 콘덴서의 병렬연결
이것저것 네이버 지식을 찾던중. 콘덴서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대해서 알게 되었는데요.
트위터에서 사용하듯, 콘덴서를 직렬연결하게 되면 저음을 죽이고 고음만 패스시킨다는것은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어느 한글에서만 콘덴서를 병렬연결하면 반대로 고음을 죽이고 저음을 살린다는 말을 들었는데요. 사실인가요?
만약에 맞다면. 그것또한 계산하는 수식같은게 존재하나요?
3. 초크코일
저음을 살리고 고음을 죽이기 위해선 mH급 초크코일을 사용하라고 들었습니다. 제가 사는곳은 대전인데요. 대전에서 초크코일을 구할수 있는곳에선 uH급 초크코일밖에 판매하지 않더군요. 200mH가 필요하기도 하던데요. 혹시 사이트상으로 mH급 초크코일을 구할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보통 흔한, Ic114라던가, 엘레파츠라던가 디바이스파츠 이런덴 없습니다.
또한, 초크코일을 병렬연결하면 어떻게 되나요? 콘덴서의 병렬연결이 반대로 저음을 살리는것이라면 혹시나 코일의 병렬연결은 반대로 고음을 살리는건 아닌가요?
4. 초크코일과, 콘덴서의 혼합 사용
초크코일을 직렬로 연결하면 고음이 죽는다고 했는데.
+IN -> 초크코일직렬연결 -> 콘덴서직렬연결 -> +Out 같은 회로도는 어떻게 된건가요?
스피커의 + 신호가 들어와서 초크코일을 지나 고음이 죽었고, 저음도 죽이는건가요?
제가 생각하기에는 지정 주파수를 컷팅해주려고 한것 같은데요.
예를 들어서 총 100까지의 주파수가 있다면. 20에서 50까지만 쓰기 위해 컷팅한것 같기도 한데
그런 원리때문에 지런식의 회로를 구상한건가요?
5. 저항
회로도에서 특히 스피커의 회로도에서 보게 되면 저항이 달려있는것을 볼수 있는데요. 보통 시멘트 저항이 사용되더군요.
제가 알기론 스피커에서의 저항이란 소리의 크기를 결정하는것으로 들었는데. 맞나요?
3웨이 네트워크 스피커 회로도에서 각저항은 각 스피커의 소리를 분배해주려고 사용된것인가요?
6. 가변콘덴서
가변콘덴서가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가변식으로 콘덴서의 용량을 만들수 있다고 하는데요.
IC114나, 기타 소자판매사이트에서 봤을땐 용량이 3pF~9pF 같은 아주 소용량의 가변콘덴서밖에 없더군요.
혹시나 uf 기준의 큰 용량의 콘덴서나, 또는 콘덴서를 결합시켜 쓸수 있는 가변 콘덴서가 있다던데 그런게 어디있는지 아니면 사진같은것에 대한 정보가 있나요?
질문이 많지요?
최대한 이해하시는데 어렵지 않게 표현하려고 했지만 이해가 잘 되실련지는 모르겠네요.
요즘 이것저것 소자들에 대해 공부를 하다가 보니 시간가는줄 모르고 재미있습니다.
한층 한층 더 성장하고 싶은데 꽉 막힐때가 한두번이 아니네요.
그럴때마다 남들이 올려놓은 답변이나 질문을 참고하는데. 이번에는 찾기가 힘들어서 제가 한번 올려봅니다. ^^
항시 즐거운 생활하시구요.
답변좀 부탁드릴께요.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