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보사회에 대한 두 가지 관점
정보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과 정보가 바라보는 관점(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에 따라 낙
관론적인 전망과 비관적인 전망으로 나누어 진다.
1)낙관론적인 관점
정보사회에 대한 낙관론적 관점에 의하면
정치적 차원에서는 정보접근 기회의 확대, 분권적인 의사결정등 권력분산에 의한 민주화의 진전을 기대할 수 있다.
경제적인 입장에서 내재적 결함(집중화, 팽창, 표준화,획일화,착취)이 있는 자본주의적 생산구조에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
사회적면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동시에 사회조직체계가 수평적이고 다원적인 체계로 변화시키게 되어 평등성을 키우게 된다
또한 문화적으로는 자동화에 의해 기술적 노동대치가 확대됨으로써 늘어난 여가시간을 통하여 개별적인 문화적 향유 기회가 증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비관론적인 관점
정보사회에 대한 비관론적인 관점에 의하면
정치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은 미증유의 집중화된 통제가 가능할 것이며
경제적인 입장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을 영속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도구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효용적인 분업과 생산과정의 분산, 생산국면의 통합된 통제등의 문제를 초래할 것임
사회적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이나 정보가 정치권력에 의해 대중을 통제하거나 기업가나 자본가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도구로 이용되며, 정치 경제적 지배계층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전망한다
또한 문화적으로 획일화된 문화에 의해 소모적 문화환경이 조성되며, 사회환경에 대처하는 인간의 자기규정적 메커니즘이 상실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한다.
정보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과 정보가 바라보는 관점(정치, 경제, 사회, 문화등)에 따라 낙
관론적인 전망과 비관적인 전망으로 나누어 진다.
1)낙관론적인 관점
정보사회에 대한 낙관론적 관점에 의하면
정치적 차원에서는 정보접근 기회의 확대, 분권적인 의사결정등 권력분산에 의한 민주화의 진전을 기대할 수 있다.
경제적인 입장에서 내재적 결함(집중화, 팽창, 표준화,획일화,착취)이 있는 자본주의적 생산구조에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만들 수 있다.
사회적면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동시에 사회조직체계가 수평적이고 다원적인 체계로 변화시키게 되어 평등성을 키우게 된다
또한 문화적으로는 자동화에 의해 기술적 노동대치가 확대됨으로써 늘어난 여가시간을 통하여 개별적인 문화적 향유 기회가 증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비관론적인 관점
정보사회에 대한 비관론적인 관점에 의하면
정치적 차원에서의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은 미증유의 집중화된 통제가 가능할 것이며
경제적인 입장에서 정보통신기술은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을 영속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도구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효용적인 분업과 생산과정의 분산, 생산국면의 통합된 통제등의 문제를 초래할 것임
사회적면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이나 정보가 정치권력에 의해 대중을 통제하거나 기업가나 자본가의 이윤극대화를 위한 도구로 이용되며, 정치 경제적 지배계층간의 구조적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전망한다
또한 문화적으로 획일화된 문화에 의해 소모적 문화환경이 조성되며, 사회환경에 대처하는 인간의 자기규정적 메커니즘이 상실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한다.
낙관적 전망
|
비관적 전망
| |
정치면
|
보다 참여적이고 분권적인 의사 결정, 정보 접근 기회의 확대 등을 통해 권력 분산이 이루어짐으로써 민주화의 진전을 기대할 수 있음
|
새로운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미증유의 집중화된 통제가 가능할 것임
|
경제면
|
집중화, 팽창, 표준화, 획일화, 착취 등과 같은 내재적 결함을 지니고 있는 자본주의적 생산 구조에 새로운 전환의 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음
|
정보 통신 기술은 자본주의적 생산 양식을 영속화시키기 위한 새로운 도구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효용적인 분업과 생산 과정의 분산, 생산 국면의 통합된 통제 등의 문제를 초래할 것임
|
사회면
|
정보 통신 기술은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동시에 조직을 위시한 사회 체계가 수평적이고 다원적인 체계로 변화하게 됨에 따라 평등성을 키우게 됨
|
첨단 정보 통신 기술이나 정보가 정치 권력이 대중을 통제하거나, 기업가와 자본가가 이윤 축적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이용되어, 정치·경제적 지배 계층 구조의 고질적 불평등의 문제를 심화시키게 됨
|
문화면
|
자동화에 의해 기술적 노동 대치가 확대됨으로써 늘어난 여가 시간을 통해 개별적인 문화의 향유 기회가 증가될 것임
|
자율적이고 다양한 문화의 향수보다는 문화적 획일화를 초래할 것이며, 소비와 향락의 소모적 문화 환경을 확장시켜 사회 환경에 대처하는 인간의 자기 규정적 메커니즘이 상실되는 결과를 가져올 것임
|
댓글
댓글 쓰기